셰이더를 만들어보자 - 렌더몽키 사용법 셰이더를 만들기 위해서 사용하는 툴 중 하나인 렌더몽키의 기초적인 사용법을 포스팅해봅니다.(공부하고 있는 책에서 렌더몽키 사용법이 제대로 나와있지않아, 이것저것 만져보면서 알게된 기초적인 사용법을 공유합니다.) 렌더몽키는 AMD에서 제작한 무료 셰이더 제작툴로 AMD Developer Central에서 받을 수 있습니다. [2008년에 릴리즈된게 최신버전이니 꽤나 오래된 프로그램이라고 할 수 있다] 새로운 셰이더를 만들기 위해서는 빈 워크스페이스에서 마우스 오른클릭이나 메뉴를 통해서 새로운 셰이더 작업을 추가하므로서 시작됩니다. [다이렉트X 외에도 오픈GL과 다양한 셰이더 예제들이 존재한다] 셰이더 코드를 작성하려면 추가된 워크스페이스의 하위에 존재하는 'Vertex Shader' 와 'Pixel Sha.. 프로그래밍/D3D 10년 전
쉽게 DirectX 프로젝트를 만들어 보자 - SampleBrowser(샘플브라우저) 다이렉트X 3D 공부를 하면서 프로젝트를 만들때 매 번 반복되는 틀의 코드 구성을 손으로 작성하는 것이 귀찮아질즈음.과연 실무 프로젝트에서도 자동완성으로 제공되는 코드 구성 틀 없이 WinAPI 코드를 일일히 작성해야되는 것인가? 라는 의문을 갖게 되었고 다이렉트X 자체에서 제공해주는 유용한 SampleBrowser 가 있음을 알게되었습니다. SampleBrowser 에서 제공하는 기능- 초보자부터 숙련자까지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예제들이 준비되어있음.- DirectX9 부터 DirectX11의 최신버전까지 폭 넓은 예제들을 활용 가능.- SDK 레퍼런스 문서 등 기타 편의기능 제공. SampleBrowser 실행다이렉트X SDK설치경로 하위에 위치한 Samples 폴더 하위의 SampleBrowser.. 프로그래밍/D3D 10년 전
다이렉트3D(DirectX 3D) 개발환경 세팅하기 다이렉트 3D 공부를 하기 위해서 책을 구매했지만, 책 어디에도 개발환경 세팅방법이 나와있지 않아서 구글링을 통한 검색과 여러번의 삽질을 통해 얻은 방법을 포스팅 합니다. 이 개발환경 세팅가이드는 VS2010 환경에서 "3D 게임 프로그래밍 (한빛미디어)" 책을 기준으로 설명하고 있습니다. 1. 프로젝트 생성 - "Win32 프로젝트 생성" 을 통해서 프로젝트를 생성합니다. - "Windows 응용 프로그램". 추가옵션으로 "빈 프로젝트"로 설정 후 생성합니다. 2. 프로젝트 속성 설정 - 프로젝트를 우클릭해 "속성" 메뉴로 들어갑니다. - 구성속성 -> VC++ 디렉터리 -> '포함 디렉터리'와 '라이브러리 디렉터리'의 경로에 다이렉트 SDK의 경로를 추가해줍니다. 포함 디렉터리 : $(DXSDK_DI.. 프로그래밍/D3D 10년 전